정보센터

대한민국 철강산업 발전에 한국철강협회가 함께합니다.

자료실

철강슬래그 홍보영상 검증 및 참고자료 링크집

  • 작성자 admin
  • 등록일 2025-10-15
  • 조회수 311

1) 우리나라에서는 매년 약 2,500만 톤으로, 이는 올림픽 규격 수영장 5천 개를 가득 채울 수 있는 규모(https://www.joongang.co.kr/article/25324071)

 

2) 철강슬래그의 95% 이상은 이미 재활용 중(한국철강협회 철강슬래그위원회 통계자료)

 

3) 영국이나 노르웨이는 아예 제품(product)’으로, 스웨덴과 핀란드는 부산물(by-product)’로 인정(LEGAL FRAMEWORK AND SECONDARY RAW MATERIALS: STEEL VIEWS AND EXAMPLES, EUROFER)

 

4) 예를 들어 슬래그를 시멘트의 50% 대체하면 탄소배출량 또한 50% 줄일 수 있는 셈(https://newsroom.posco.com/kr/포스코이앤씨-한국전력공사와-친환경-시멘트-활용/)

 

5) 일반 도로보다 수명이 두 배 가까이 늘어나고, 포트홀 같은 파손도 줄었으며 소음과 먼지도 감소(https://newsroom.posco.com/kr/포스코-제강슬래그-활용-골재로-만든-아스팔트-포장/)

 

6) 최근에는 고속도로 일부 구간에도 제강슬래그 아스팔트를 시험 적용(https://m.site.naver.com/1OU71)

 

7) 트리톤이라는 인공어초는 슬래그로 만들어졌는데, 바다 속 염분에도 강하고 무게도 안정적이어서 울릉도와 포항, 광양 인근 앞바다에 꾸준히 설치(https://newsroom.posco.com/kr/포스코-철강슬래그-활용해-해양생태계-살리는-바다/)

 

8) 농업에서는 규산질 비료로 가공해 벼 수확량을 14% 이상 늘리기도(http://www.snmnews.com/news/articleView.html?idxno=490824)

 

9) 고로슬래그 시멘트만 제대로 활용해도, 우리나라에서 연간 360만 톤의 CO2 배출을 줄인 효과(http://www.conslove.co.kr/news/articleView.html?idxno=79779)

 

10) 슬래그를 골재로 대체하면 그만큼 자연을 덜 훼손(https://m.site.naver.com/1P1NE)

 

11) 실제로 연구 결과에서도 가공 방법에 따라 천연골재와 동등하거나 더 우수한 성능(https://www.akademiabaru.com/doc/ARMSV67_N1_P1_10.pdf)

 

12) 탄소를 포집해 블록으로 만드는 기술(CarbonBuilt)(https://scienceon.kisti.re.kr/srch/selectPORSrchArticle.do?cn=JAKO201711656579224)

 

13) 시멘트 없이 콘크리트를 만드는 기술(CarbiCrete)(https://m.g-enews.com/article/Global-Biz/2022/10/2022101311565972629a1f309431_1, https://www.g-enews.com/article/Industry/2022/12/2022122916192557226ed0c62d49_1)

 

14) 슬래그에서 희토류 금속을 뽑아내는 기술까지 연구(https://www.hankyung.com/article/202201199192Y)